티스토리 뷰
차트로 주식을 매매할 수 있다면 믿으시겠습니까?
차트의 과거와 현재 흐름으로 미래를 예측할 수 있다면 믿으시겠습니까?
차트를 보면서 매매하는 차트쟁이들은 많이 있습니다.
그러나 그 중에서 핵심 기법을 알려주는 이들은 많지 않습니다.
저는 차트에 대해 공부하고 제대로 배워서 스스로 적용하고 싶어서 정말 열심히 노력했습니다.
제가 수익을 보는 방식 그대로,
차트 매매의 기본부터 핵심 기법까지 차근히 알려드리겠습니다.
(그 동안 블로그에서 차트 매매에 대해서 말씀드렸지만 앞으로 더 열심히 알려드리겠다는 이야기!)
제 블로그를 꼼꼼히 보시기만 해도, 차트의 기본은 쉽고 자연스럽게 배워가실 수 있습니다.
글 하단에 지난 글들의 링크가 있으니 참고해주세요★
카테고리에 이론적인 내용을 여러가지 작성해 놓았으니 참고해주세요★
주식을 매도해야 하는 자리
주식을 할 때 어려운 부분 중 하나는, 주식을 어디에서 매도해야 할지 모른다는 점입니다.
매수는 어떻게 저점을 잘 잡아서 샀는데, 매도하기가 참 어렵습니다.
오늘 글을 읽으시면, 매도자리에 대한 개념이 잡히실 것이며,
주식 매매를 하는데 도움이 되실 겁니다.
아래에서 확인해주세요.
먼저 단기매매와 장기매매를 할 때, 조금 다른 관점으로 접근해야 합니다.
즉, 매도지점이 다릅니다.
단기매매
단기 매매의 매도는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해야 합니다.
먼저, 1분봉 기준으로 매도 지점을 결정합니다.
그리고 다음과 같은 세가지 조건 중 두가지 이상이 맞아 떨어지면 매도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최대 상승 3파(2파에서 파는 경우도 많음)
최대거래량
하락 캔들(피뢰침 or 장대음봉)
고점에서 최대거래와 하락캔들(피뢰침 양봉, 장대음봉) 이 나왔으니, 고점에서 팔 수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최대거래가 되는 것은 호가창으로도 확인할 수 있으며, 실제 분봉에서 캔들이 바쁘게 움직이는 것을 눈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고점에서 피뢰침, 최대거래가 터졌습니다. 여기서 매도해야 합니다.
하지만, 저는 전고점에서 못버티고 팔았을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전고점 양봉캔들보다 음봉 피뢰침 캔들에서의 거래가 훨씬 늘었으니까요.
상승 3파까지 갔으며, 2차에서 이미 최대거래가 터졌습니다.
3파의 음봉 피뢰침에서 미련없이 매도합니다.
장기매매
장기 매매(장기투자)의 매도는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 해야 합니다.
일봉을 기준으로 매도 지점을 잡습니다.
다음 세가지 조건 중 두가지 이상이 맞아 떨어지면 매도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최대거래량
급등
이평성기울기 증가(완만기울기 --> 가파른 기울기)
최대거래량에서 피뢰침을 만든 것을 보실 수 있습니다. 그날 매도해야 합니다.
그리고 그 전에 이미 기울기가 점차적으로 상승하였으며,
최대거래 터지기 전에는 지속적인 급등을 해왔음을 알 수 있습니다.
그러니 매도지점이 가까워졌음을 눈치챌 수 있어야 합니다.
그리고 장투종목의 매도를 적당한 시기에 하지 못했다면,
적어도 다음과 같은 상황에서는 무조건 매도해야 합니다.
최후의 매도자리 = 20일선 이탈
왜냐하면 20일선은 생명선으로 불리우는 추세선이기 때문입니다.
20일선은 심리적으로도 개미들이 두려워하는 이평선이면서,
실제로 매물이 많이 쌓여있는 매물대로 작용합니다.
그러므로 20일선을 크게 깬다면(적어도 5% 이상) 매도하시는게 좋습니다.
즉, 삼성전자를 고점에 매도하지 못했다면, 적어도 20일선을 이탈할 때 매도하는게 좋습니다.
자이에스앤디도 기울기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내가 가진 장투 종목이 급등을 한다면 매도지점이 가까워 왔음을 느끼셔야 합니다.
최고점 피뢰침에서 최대 거래가 터지진 않았어도.
피뢰침을 진 시점의 종목 상승 기울기를 고려하여 일부 수익실현을 하는 것을 추천합니다.
만약 매도하지 못했다면 자이에스앤디도 20일선을 이탈할 때 매도해야 했습니다.
★ 20일선 이탈은 아무때나 하는건 아니고, 급격한 상승하다가 20일선을 이탈한 경우에 해당합니다.
완만한 상승중일때는 언제든 20일선을 이탈할 수 있지만,
급격한 상승중에 20일선을 이탈했다는 것은 하락하려는 힘이 강하다는 뜻이기 때문입니다.
★여기서 잠깐★손절매매에서 주의해야 할 점★
손절을 해야 할 경우가 생깁니다.
추세를 이탈하였을 때 혹은 급락이 나왔을 때.
그런데 여기, 급락이 나왔을 때 많은 분들이 착각하는 것이 있습니다.
급락이 나오면 바로 팔고 도망가야 한다???
반은 맞고 반은 틀린 말입니다.
정확히는
"급락이 나오면 반등에서 팔고 다시본다."
입니다.
급락은 "구라(혹은 훼이크)"일 수 있으니 상황 판단을 빠르게 하셔야 합니다.
만약 구라가 아닌 진짜 하락이어도, 1/3 에서 절반정도까지는 반등을 주기 때문에,
급락에서 파시기 보다는 반등했을 때 팔아서 손실을 최소화 하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급락이 구라일 경우에는, 급락 이후 다시 자리를 잡고 재상승을 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급락한 주식을 적당한 지점에서 팔고 다시 지켜보는 자세도 필요합니다.
- 자이에스앤디
자이에스앤디가 급락한 날의 분봉입니다.
시초에 -12%까지 하락하였지만 -6% 정도까지 반등을 주었습니다.
이렇게 급락한 종목은 절반이나 최소 1/3은 반등을 하기 때문에 반등에 매도하여 손실을 최소화 하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급락을 하였으니 다시 지지를 하고 다시 상승을 할 수 있습니다.
재정비하여 상승할 시기를 기다려 재진입 하는 것도 저렴한 가격에 주식을 다시 사는 방법입니다.
☆★함께 보면 좋은 글
'매매기법이론'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매수 기법 2. 조정 받는 우량주 주식 다시 매수하는 자리_삼성전자 언제살까? (1) | 2021.02.11 |
---|---|
주식 종목 매수 기법1_ 20일선 돌파 지지 매매법 매수기법 (0) | 2021.02.07 |
주식 차트 보는 방법_5. 상승하는 차트의 패턴_작전주, 급등주 (0) | 2021.02.03 |
주식 차트 보는 방법_4. 상승하기 좋은 차트의 기본 (1) | 2021.02.01 |
주식 차트 보는 방법_3. 매물대란? 지지선과 저항선은 무엇인가 (0) | 2021.02.01 |